규마 후미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규마 후미오는 일본의 정치인으로, 나가사키현 출신이며 도쿄 대학 법학부를 졸업했다. 농림수산성, 나가사키 현청, 나가사키 현 의회 의원을 거쳐 1980년 중의원 의원에 당선되었다. 하시모토 내각에서 방위청 장관을 역임했으며, 고이즈미 준이치로 정권에서 자민당 간사장 대리, 총무회장을 지냈다. 제1차 아베 신조 내각에서 방위청 장관을 다시 맡았고, 방위성 초대 방위대신이 되었으나, 원자폭탄 관련 발언으로 사임했다. 2009년 중의원 의원 선거에서 낙선 후 2012년 정계에서 은퇴했다. 이라크 전쟁과 오키나와 미군 기지 문제 등 다양한 정치적 입장을 표명했으며, 한일 관계 개선에도 노력을 기울였다. 그러나 "원폭 어쩔 수 없다"는 발언과 정치 자금 문제, 폭력 조직과의 관계 등으로 논란을 빚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방위청 장관 - 우노 소스케
우노 소스케는 자유민주당 소속의 일본 정치인으로, 외무대신 등 요직을 거쳐 제75대 내각총리대신을 지냈으나 여성 스캔들로 인해 69일 만에 사임하며 최단명 내각 중 하나를 이끌었고, 시베리아 억류 경험을 바탕으로 한 저서를 출판하기도 했다. - 일본의 방위청 장관 - 나카소네 야스히로
나카소네 야스히로는 1918년 군마현 출생으로 도쿄 제국대학 법학부를 졸업하고 일본 제국 해군에서 복무했으며, 자유민주당 소속으로 정계에 입문하여 내각총리대신을 역임하며 행정 개혁, 국철 민영화 등을 추진하다가 2019년 사망했다. - 일본의 방위대신 - 우노 소스케
우노 소스케는 자유민주당 소속의 일본 정치인으로, 외무대신 등 요직을 거쳐 제75대 내각총리대신을 지냈으나 여성 스캔들로 인해 69일 만에 사임하며 최단명 내각 중 하나를 이끌었고, 시베리아 억류 경험을 바탕으로 한 저서를 출판하기도 했다. - 일본의 방위대신 - 고이케 유리코
고이케 유리코는 카이로 대학교 졸업 후 저널리스트로 활동하다 정계에 입문하여 환경대신, 방위대신 등을 역임하고 현재 도쿄도지사로 재임 중인 일본의 정치인으로, 도민제일회를 창당하고 희망의 당을 이끌기도 했으며 경제 자유주의와 우익 포퓰리즘 성향으로 논란을 겪기도 했다. - 자유민주당 총무회장 - 사토 에이사쿠
사토 에이사쿠는 철도성 공무원 출신으로 일본 총리를 지낸 자유민주당의 주요 정치인으로, 오키나와 반환을 성사시키고 경제 호황을 이끌었으나 닉슨 쇼크와 오키나와 밀약 등으로 비판받았으며 노벨 평화상을 수상한 인물이다. - 자유민주당 총무회장 - 시나 에쓰사부로
시나 에쓰사부로는 일본의 관료, 사업가, 정치인으로, 상공성 근무와 만주국 산업 개발 기여, 전시 경제 정책 수립, 자유민주당 부총재 역임, 한일 기본조약 체결, 중의원 의원 활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했다.
규마 후미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규마 후미오 |
원어 이름 | 久間 章生 |
로마자 표기 | Kyūma Fumio |
출생일 | 1940년 12월 4일 |
출생지 | 미나미시마바라시, 나가사키현, 일본 제국 |
소속 정당 | 자유민주당 |
학력 | 도쿄 대학 |
웹사이트 | 衆議院議員 長崎県第二区 久間章生(2007年6月30日時点のアーカイブ) |
배우자 | 유 |
자녀 | 4명 (2남 2녀) |
친척 (정치인) | 규마 가즈오 (재종제) |
정치 경력 | |
직책 | 방위대신 |
총리 | 아베 신조 |
임기 시작 | 2007년 1월 9일 |
임기 종료 | 2007년 7월 3일 |
이전 | 사무실 설립 |
이후 | 고이케 유리코 |
직책1 | 방위청 장관 |
총리1 | 아베 신조 |
임기 시작1 | 2006년 9월 26일 |
임기 종료1 | 2007년 1월 8일 |
이전1 | 누카가 후쿠시로 |
이후1 | 사무실 폐지 |
총리2 | 하시모토 류타로 |
임기 시작2 | 1996년 11월 7일 |
임기 종료2 | 1998년 7월 30일 |
이전2 | 우스이 히데오 |
이후2 | 누카가 후쿠시로 |
직책3 | 중의원 의원 |
선거구3 | 나가사키현 제1구 (1947-1993) (1980–1996) 나가사키현 제2구 (1996–2009) |
임기 시작3 | 1980년 |
임기 종료3 | 2009년 7월 21일 |
이전3 | 복수 의석 선거구 |
이후3 | 후쿠다 에리코 |
직책4 | 나가사키현 의회 의원 |
임기 시작4 | 1971년 4월 |
임기 종료4 | 1980년 6월 |
기타 정보 | |
칭호 및 훈장 | [[파일:JPN Kyokujitsu-sho 1Class BAR.svg|40px]] 욱일대수장 법학사 (도쿄 대학, 1964년) |
이전 직업 | 나가사키현청 농림부 직원 |
정당 이력 | 다나카파 → 쓰시마파 |
기타 직책1 | 자유민주당 총무회장 |
총재 | 고이즈미 준이치로 |
임기 시작6 | 2004년 9월 27일 |
임기 종료6 | 2006년 9월 20일 |
기타 직책4 | 자유민주당 간사장 대리 |
총재 | 고이즈미 준이치로 |
임기 시작9 | 2003년 |
임기 종료9 | 2004년 9월 27일 |
2. 약력
나가사키현 출신으로, 도쿄 대학 법학부를 졸업하고 농림성과 나가사키 현청에서 근무했다. 나가사키현 의회 의원을 거쳐 1980년 중의원 의원에 처음 당선되었다.[13]
하시모토 류타로 총리 시절인 1996년 제2차 하시모토 내각에서 방위청 장관으로 처음 입각하였으며,[3] 이후 고이즈미 준이치로 정권에서는 자민당 총무회장 등을 역임했다.[3] 2006년 9월 제1차 아베 신조 내각에서 다시 방위청 장관으로 임명되었고,[4] 2007년 1월 방위청이 방위성으로 승격되면서 초대 방위대신이 되었다.
그러나 2007년 6월, 강연회에서 미국의 원자폭탄 투하를 "어쩔 수 없었다"고 발언하여 피폭자 단체를 비롯한 많은 이들의 거센 반발을 샀다. 결국 이 발언에 대한 책임을 지고 같은 해 7월 방위대신직에서 물러났다.
2009년 중의원 의원 선거에서 낙선하였으며, 이후 아소 다로의 후견인 역할을 하기도 했다. 2012년 정계 은퇴를 선언했고, 2013년 욱일대수장을 받았다.[15]
2. 1. 주요 경력
나가사키현 출신으로, 도쿄 대학 법학부를 졸업하고 농림성에 입성했다. 농림성 퇴직 후에는 나가사키 현청을 거쳐 나가사키현 의회 의원으로 활동하다 1980년 중의원 의원에 처음 당선되었다.[13]하시모토 류타로 총리 시절인 1996년 제2차 하시모토 내각에서 방위청 장관으로 처음 입각했으며,[3] 미군 후텐마 기지 이전 문제와 일미 방위 협력 지침 재검토 등을 담당하며 국방 분야에서 입지를 다졌다.[14] 고이즈미 준이치로 정권 하에서는 당내 반(反)고이즈미 세력과 달리 친(親)고이즈미 입장을 취하며 2003년 자민당 간사장 대리, 2004년부터 2006년까지 자민당 총무회장을 역임했다.[3] 2005년에는 우정민영화 법안 처리 과정에서 당내 관례를 깨고 다수결 표결을 주도하기도 했다.
2006년 9월, 제1차 아베 신조 내각에서 다시 방위청 장관으로 임명되었고,[4] 2007년 1월 방위청이 방위성으로 승격하면서 초대 방위대신이 되었다. 그러나 2007년 6월 강연회에서 미국의 원자폭탄 투하를 정당화하는 듯한 발언("어쩔 수 없었다")을 하여 피폭자 단체 등의 거센 반발을 샀고, 결국 같은 해 7월 책임을 지고 사임했다. 이 논란으로 인해 그해 나가사키 평화 기념식전에도 불참했다.
2009년 중의원 선거에서 낙선한 후, 2012년 총선 불출마 및 정계 은퇴를 선언했다. 그는 이노카이(士志の会) 그룹에 속해 아소 다로의 후견인 역할을 하기도 했다. 2013년에는 욱일대수장을 받았다.[15]

연도 | 주요 경력 |
---|---|
1964년 3월 | 도쿄 대학 법학부 졸업 |
1964년 4월 | 농림성 입성 |
1970년 | 농림성 퇴직, 나가사키현청 입청[13] |
1971년 4월 | 나가사키현 의회 의원 당선 (3선) |
1980년 5월 | 중의원 의원 첫 당선 (나가사키 1구) |
1987년 11월 | 운수성 정무차관 취임 |
1994년 1월 | 자민당 국회대책 부위원장 취임 |
1996년 1월 | 자민당 부간사장 취임 |
1996년 11월 | 제2차 하시모토 내각 방위청 장관 취임 (첫 입각) |
1997년 9월 | 제2차 하시모토 개조내각 방위청 장관 유임[14] |
2003년 9월 | 자민당 간사장 대리 취임 |
2004년 9월 | 자민당 총무회장 취임 |
2005년 10월 | 자민당 총무회장 유임 |
2006년 9월 | 제1차 아베 신조 내각 방위청 장관 취임 (2번째)[4] |
2007년 1월 | 초대 방위대신 취임 (방위성 승격) |
2007년 7월 | 원폭 투하 관련 발언 논란으로 방위대신 사임 |
2009년 8월 | 제45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 낙선 |
2012년 12월 | 제46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 불출마 |
2013년 | 정계 은퇴 공식 표명 |
2013년 4월 | 욱일대수장 수훈[15] |
규마 후미오는 주로 방위 및 외교 분야에서 활동하며 자신의 정치적 소신을 드러냈다. 특히 미국의 이라크 전쟁 개전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을 견지했으며, 이와 관련된 발언으로 논란이 되기도 했다.[6][7] 또한 오키나와현의 후텐마 기지 이전 문제와 관련하여 현지 주민의 입장을 고려하며 미국 측을 비판하는 등, 지역 현안에도 목소리를 냈다.[8] 더불어 한일 관계 증진을 위한 활동에도 참여하여 한일의원연맹 부회장 등을 역임했다.
3. 정치 활동 및 정책
3. 1. 이라크 전쟁 관련 입장
2006년 12월, 규마 후미오는 고이즈미 준이치로 전 총리가 미국의 이라크 침공을 지지했지만, 이는 일본 정부의 공식적인 지지는 아니었다고 주장했다.[6] 그러나 이후 일본 내각이 공식적으로 미국 주도의 전쟁을 지지하는 통일된 견해를 채택했음을 인정하며 자신의 발언을 철회해야 했다.[6] 12월 8일 기자회견에서는 전날 참의원 외교방위위원회에서 한 "고이즈미 전 총리의 이라크 전쟁 지지는 비공식적이었다"는 발언에 대해 "공부 부족으로 잘못되었다"고 정정하고 철회했다. 당시 내각총리대신 고이즈미는 전쟁 발발 시 긴급 기자회견에서 "무력행사를 이해하고 지지한다"고 밝혔고, 총리 담화 역시 각의 결정을 거친 상태였다. 규마는 이 정정 기자회견에서도 자신은 이라크 전쟁을 지지하지 않는다는 점을 명확히 했다. 그는 방위청 장관을 두 번 역임했지만, 이라크 전쟁의 대의에는 회의적인 입장을 가지고 있었다.
2007년 1월 24일, 그는 미국의 이라크 침공 결정이 실수였다고 발언했다.[7] 다음 날인 1월 25일, 일본기자클럽 회견에서는 "이라크에 대량살상무기가 있다고 단정 짓고 전쟁을 감행한 조지 W. 부시 미국 대통령의 판단은 잘못되었다"고 말했다. 이 발언은 이라크 전쟁을 지지하는 제1차 아베 신조 내각의 입장과 달라 내각 불일치라는 비판을 받았다. 그러나 내각관방장관 시오자키 야스히사는 "규마 씨의 개인적인, 각료로서가 아니라 한 정치인으로서의 의견이며, 내각 불일치는 아니다"라고 해명하며 논란을 진화하려 했다. 1월 29일 중의원 본회의에서 민주당의 마쓰모토 쓰구아키 의원이 이 문제를 추궁하자, 규마는 "(전쟁 발발) 당시, 밖에서 느낀 감상으로서 말한 것이며, 방위상으로서는 (미국 지지의) 정부 입장을 지지하고 있다"고 해명했다.
같은 해 2월 22일 중의원 안전보장위원회에서는 "각료는 다른 나라에 어떤 형태로 전달될지도 계산해서 말해야 한다. (부시 대통령의) 일반교서연설이 발표된 날, 그렇게 말한 것 자체가 배려가 부족했다. 반성하고 있다"고 답변했다. 이 발언을 두고 미국 측에서 일미동맹을 해칠 수 있다는 항의가 있었으며, 미국 국무부 일본부 장관 제임스 줌왈트(James Zumwalt)는 "대통령을 비판하는 듯한 발언이 반복되면, 일미안보협의위원회(2+2) 일정 설정이 어려워질 수 있다"고 비판하며 압박하는 듯한 태도를 보였다.[16] 군사 저널리스트 카미우라 모토아키는 외무성이 미국의 의향을 미리 파악하고 전달한 것이 아니냐는 의혹을 제기하기도 했다.[16]
한편, "이미 밝혀졌고 부시 대통령도 인정했지만, 전쟁의 대의였던 대량살상무기는 이라크에 존재하지 않았다. (그런데 이라크 전쟁을 비판했는데) 그것 때문에 미국으로부터 항의를 받을 것이라고는 전혀 생각할 수 없다"는 반론도 제기되었다.[17] 자민당 내에서도 가토 고이치가 규마를 옹호하며 "왜 비판을 받아야 하는가. (이라크 전쟁 개전의 잘못은) 세계의 상식이다"라며 정부 측을 비판했다는 이야기도 있다.[18]
3. 2. 오키나와 미군 기지 문제
2007년 1월, 규마 후미오는 미국 해병대 후텐마 비행장 이전과 관련하여 오키나와 현지사의 승인을 얻지 못하자 미국을 비판했다. 이 기지 이전 문제는 오키나와 주민과 미국 정부 간의 오랜 갈등 요인이 되어 왔다.[8]
3. 3. 한일 관계
규마 후미오는 한일 관계와 관련된 여러 단체에서 활동했다. 주요 활동 내역은 다음과 같다.
단체 | 직책 |
---|---|
한일의원연맹 | 부회장 |
한일터널연구회 | 고문 |
파친코체인스토어협회 | 정치분야 어드바이저[60] |
4. 논란 및 사건
규마 후미오는 정치 활동 기간 동안 여러 논란과 사건에 연루되었다.
가장 큰 논란은 제1차 아베 신조 내각의 방위대신으로 재직하던 2007년 6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미국의 원자폭탄 투하에 대해 "(전쟁 종결을 위해) 어쩔 수 없었다"고 발언한 것이다.[9][25] 이 발언은 원폭 투하를 정당화하는 것으로 해석되어 피폭자 단체와 나가사키현 등을 중심으로 거센 비판과 항의를 받았으며,[13] 결국 발언 책임을 지고 방위대신직에서 사임했다.[9][10]
이 외에도 다음과 같은 여러 논란 및 사건이 있었다.
- 정치자금 수수 의혹: 2004년부터 2005년 사이, 국가 보조금을 받은 의료법인으로부터 정치자금규제법을 위반하여 정치헌금을 받았다는 의혹이 제기되었다.[52][53][54]
- 폭력단 관계자 사진 촬영: 1997년 방위청 장관 재직 시절, 장관 집무실에서 폭력단 두목 등과 기념사진을 찍은 사실이 2001년 드러나 논란이 되었다.[55]
- 방위성 스캔들 연루 의혹: 자위대 차세대 수송기 엔진 납품 관련 뇌물 사건(야마다 요코 사건)과 관련하여, 전직 방위 관료가 규마가 고급 요정 접대 자리에 동석했다고 증언했다.
- 다이아몬드 미반환 소송: 지인 여성으로부터 맡아 보관하던 다이아몬드를 반환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3700만엔 상당의 손해배상 판결을 받았다.[56]
- NPO 배상금 사기 사건: 대표를 맡았던 비영리법인(NPO)의 전 간부들이 후쿠시마 제1 원자력 발전소 사고 관련 배상금을 사기 혐의로 체포되었다.[57]
- 전 비서 횡령 사건: 규마의 전 비서가 대만 기업 자금을 횡령하여 부정 인출한 혐의로 체포되었다.[58]
- 오키나와 관련 발언: 2006년 참의원 외교방위위원회에서 오키나와 전투의 참상을 간과하는 듯한 발언으로 오키나와 주민들의 반발을 샀다.[21]
- 나가사키 시장 피살 사건 관련 발언: 2007년 이토 이치나가 당시 나가사키 시장 피살 사건 직후, 위급한 상황에서 정치적 유불리를 따지는 듯한 발언으로 비판을 받았다.[22][23][13][24]
4. 1. "원폭 어쩔 수 없다" 발언
2007년 6월 30일, 제1차 아베 신조 내각의 초대 방위대신이었던 규마 후미오는 지바현 가시와시의 레이타쿠 대학 강연회에서 제2차 세계 대전 말 미국의 원자폭탄 투하와 관련하여 "(전쟁 종결을 위해) 어쩔 수 없었다"는 취지로 발언했다.[9][25] 이 발언은 미국의 원폭 투하를 사실상 정당화하는 것으로 해석되어 즉각 큰 파문을 일으켰다. 특히 피폭지인 나가사키현을 중심으로 피폭자 단체, 유족, 반핵 평화 단체 등으로부터 거센 항의와 비판이 쏟아졌다.[13]규마는 처음에는 발언을 정정할 필요가 없다는 입장을 보였으나,[9] 자유민주당 내부와 연립여당인 공명당, 그리고 나가사키 시의회와 나가사키 현의회 등[27][29] 각계의 비판이 거세지자 결국 사과하며 발언을 사실상 철회했다.[26][13] 그럼에도 불구하고 논란은 수그러들지 않았고, 아베 신조 당시 총리로부터 엄중 주의를 받은 후[13] 7월 3일, 발언에 대한 책임을 지고 방위대신직에서 물러났다.[9][10][30][31]
사임 이후에도 규마에 대한 비판과 항의는 계속되었고, 이 여파로 매년 참석해오던 나가사키 원폭 희생자 위령 평화 기념식전에도 불참하게 되었다.[13] 또한, 피폭자 단체 등으로부터 의원직 사퇴를 요구하는 시위와 요구서가 전달되는 등[46][47][48] 정치적으로 상당한 곤경에 처했다.
4. 1. 1. 발언 배경 및 내용

2007년 6월 30일, 당시 방위대신이었던 규마 후미오는 지바현 가시와시에 있는 레이타쿠 대학 비교문명문화연구센터 주최 강연회에서 한 발언으로 큰 논란을 일으켰다.[9] 아사히신문은 규마가 제2차 세계 대전 말 미국의 원자폭탄 투하에 대해 다음과 같은 취지로 발언했다고 보도했다.[25]
> 일본이 전후 독일처럼 분단되지 않은 것은 소련의 침략이 없었기 때문이다. 미국은 승전을 확신했지만, 일본이 끈질기게 저항하자 소련의 개입 가능성을 우려했다. 소련이 개입하면 베를린처럼 일본도 분단될 수 있으므로, 미국은 일본의 패배를 알면서도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에 원폭을 투하했다. 8월 9일 나가사키 투하로 일본의 항복을 유도하고 소련의 참전을 막으려 했다. 다행히 8월 15일 전쟁이 끝나 홋카이도는 점령되지 않았지만, 잘못하면 소련에게 빼앗길 수도 있었다. 당시 일본은 속수무책이었기에, 나가사키의 비극에도 불구하고 원폭 투하로 전쟁이 끝났다는 점에서 "어쩔 수 없었다"고 생각한다. 미국을 원망할 생각은 없지만, 승전이 확실한 상황에서 원폭까지 사용할 필요가 있었는지는 여전히 의문이다. 국제 정세 등을 고려하면 그런 선택도 가능했을지 모른다.
이 발언은 미국의 원폭 투하를 정당화하는 논리로 해석될 수 있어 즉각적인 비판에 직면했다. 규마는 7월 1일 후지 TV 프로그램 '보도 2001'에 출연하여 "그런 내용의 발언이 아니"라며 "정정할 필요는 없다. 오해를 준 부분이 있다면 정중하게 설명해야 한다"고 말하며 발언 철회 의사가 없음을 분명히 했다. 그러나 자유민주당의 나카가와 히데나오 간사장과 연립여당인 공명당 등 정치권의 비판이 이어지자, 같은 날 오후 기자회견을 열고 "피폭자를 가볍게 보는 듯한 인상을 주었다면 죄송했다"고 사과하며 사실상 발언을 철회했다.[26] 또한 매년 참석하던 나가사키 평화기념식전에 참석할 의향을 밝혔다.[13]
아베 신조 당시 총리는 규마에게 엄중 주의를 주었지만, 사태는 진정되지 않았다. 피폭자 단체와 반핵평화단체들은 강하게 항의했다. 7월 2일 나가사키 시의회는 규마의 발언에 항의하며 발언 철회를 요구하는 의견서를 만장일치로 가결했고,[27] 7월 3일에는 타나가미 토미히사 나가사키 시장과 시의회 의장이 직접 도쿄로 와 아베 총리와 규마에게 항의했다.[28] 같은 날 나가사키 현의회에서도 항의 결의가 만장일치로 통과되었으며,[29] 카네코 겐지로 나가사키현 지사도 재발 방지를 경고했다.[29]
아키바 타다토시 히로시마 시장은 발언 철회와 함께 히로시마·나가사키 방문을 통한 피해 직시를 요구하는 항의 성명을 발표했다.[32] 일본원폭피해자단체협의회,[33] 연합 나가사키,[34] 나가사키현 원폭금지일본국민회의(원수금)[35] 등 여러 단체들도 비판 성명을 내고 나가사키 평화공원[37]에서 항의 시위를 벌이는 등[36] 반발이 거셌다.[29][38] 민주당,[41] 일본공산당,[13] 국민신당[13] 등 야당들도 일제히 규마를 비판했다.
결국 규마는 7월 3일, 참의원 선거에 악영향을 줄 것을 우려하며 방위대신직 사의를 표명했고, 아베 총리는 이를 즉시 수리했다.[30][31][13] 후임으로는 고이케 유리코가 임명되었다.[11] 규마는 사임 후 기자회견에서도 "원폭이 일본을 완전 항복으로 이끈 것은 사실"이라는 주장을 반복하며, "규슈 사투리로 '어쩔 수 없다(しゃあない)'는 말이 버릇이라 바로 나왔다"고 해명했지만, 규슈 지역 대학 교수들과 시마네 대학의 타고 히로시 교수, 나가사키시 평화추진실 등은 해당 표현이 규슈 사투리에서 자주 쓰이는 말이 아니라며 의문을 제기했다.[42]
히로시마 시장 아키바와 나가사키 원폭 피해자 협의회 사무국장 등은 규마의 사임은 당연하다면서도, 이는 일본 정부와 자민당의 원폭에 대한 인식 자체의 문제라고 비판하며 규마의 역사 인식에 근본적인 의문을 제기했다.[43][44][13]
한편, 호토리마 히토시 전 나가사키 시장은 1975년 쇼와 천황이 히로시마 원폭 투하에 대해 "유감스럽게 생각하지만, 어쩔 수 없었다"고 발언한 것을 언급하며, "당연한 인식이고 나도 동감한다. 규마 씨의 발언도 마찬가지로, 원폭을 긍정한다, 용인한다고 비판하는 것은 옳지 않다"고 주장하며 항의하는 피폭자 단체를 비판하기도 했다. 다만 호토리마의 '어쩔 수 없었다'는 일본인이 받은 벌이라는 의미에서의 표현으로, 규마나 쇼와 천황의 의도와는 차이가 있다는 지적도 있다. 보수 성향의 산케이신문은 호토리마의 발언과 히로시마 원폭 사망자 위령비의 비문("평화롭게 잠들어 주십시오 과오는 반복하지 않겠습니다")을 근거로 원폭 투하의 책임을 일본 측에 돌리며 규마의 발언을 비난할 자격이 없다고 주장하기도 했다.[40]
규마의 역사 인식에 대해 전문가들의 비판도 이어졌다. 하타 이쿠히코 일본대학 강사(현대사)는 미국의 원폭 투하가 소련 참전을 막기 위한 것이었다는 주장은 역사적 사실과 다르다고 지적했다. 소련은 나가사키 원폭 투하 당일 참전했으며, 종전 후 홋카이도 점령 시도도 미국에 의해 저지되었다는 점을 근거로 들었다.[50] (참고: 얄타 회담) 전 나가사키 대학 총장 쓰치야마 히데오는 규마의 발언을 '극히 무지하고 논외'라고 비판하며, 과거 규마가 이라크 전쟁을 비판했던 점을 들어 '미국에 대한 어필'이라고 평가절하했다.[50] 현대사가 호사카 마사야스는 원폭 투하와 종전 간의 직접적인 관련성을 부정하며, 규마의 발언이 미국의 원폭 투하 정당화 논리와 일치하고 역사적 사실을 무시한 것이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호사카는 일본 국민이 당시 군부 지도층의 항전론을 비판하고 미국의 일방적인 해석을 배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51]
사임 이후에도 규마에게 의원직 사퇴를 요구하는 시위[46]가 이어졌고, 피폭자 단체로부터 의원 사퇴 요구와 공개 질의서가 발송되는[47][48] 등 논란은 계속되었다. 이 소동 직후 치러진 제21회 참의원 통상선거(나가사키현 선거구)에서 자민당은 규마의 주도 하에 코미네 타다토시를 공천했으나, 민주당의 오오쿠보 키요시게에게 패배했다. 또한, 문예춘추 2009년 6월 18일호는 규마의 장모가 일련의 소동에 항의하여 8월 9일 나가사키 원폭 기념일에 자살했다고 보도했다.[49]
4. 1. 2. 비판 및 논란
2007년 6월 30일, 규마 후미오는 지바현 가시와시에 있는 레이타쿠 대학 강연회에서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미국의 나가사키 원폭 투하에 대해 "전쟁을 끝내기 위해 나가사키에 원자폭탄이 투하되고 무수한 사람들이 엄청난 비극을 겪은 것은 어쩔 수 없었다는 것을 이제는 받아들이게 되었다"고 발언했다.[25] 이 발언은 원폭 투하를 정당화하는 것으로 해석될 여지가 있어 즉각 큰 사회적 파장을 일으켰다.규마는 다음 날인 7월 1일, 후지TV의 아침 뉴스 프로그램 보도 2001에 출연하여 자신의 발언에 대해 "정정할 필요는 없다"며 사과를 거부하는 듯한 태도를 보였다. 그러나 자유민주당 내부와 연립여당인 공명당에서조차 비판이 나오자 같은 날 오후 기자회견을 열고 "피폭자를 가볍게 보는 듯한 인상을 주었다면 죄송하다"며 사과하고 발언을 사실상 철회했다.[26][13]
하지만 사과에도 불구하고 비판 여론은 수그러들지 않았다. 피폭자 단체와 반핵 평화 단체들은 강력히 항의했으며, 나가사키 시의회[27]와 나가사키 현의회[29]는 규마의 발언 철회를 요구하는 의견서와 항의 결의를 만장일치로 채택했다. 타나가미 토미히사 나가사키 시장과 카네코 겐지로 나가사키현 지사도 직접 항의의 뜻을 전달했다.[28][29] 아키바 타다토시 히로시마 시장 역시 발언 철회와 함께 히로시마·나가사키 방문을 통한 피해 직시를 요구하는 항의 성명을 발표했다.[32] 일본원폭피해자단체협의회[33], 연합 나가사키[34], 나가사키현 원수금[35] 등 여러 단체에서 비판 성명을 내고 항의 시위를 벌였다.[36][37][29][38] 야당인 민주당[41], 일본공산당[13], 국민신당[13] 역시 규마를 일제히 비판했다.
결국 규마는 7월 3일, 아베 신조 총리에게 사직서를 제출하며 방위대신직에서 물러났다. 그는 사임 이유로 자신의 발언이 총리에게 부담을 주는 것을 원치 않았다고 밝혔지만[10], 사실상 거센 비판 여론에 밀려난 것으로 받아들여졌다.[30][31][13] 사임 후에도 피폭자 단체 등은 의원직 사퇴를 요구하는 시위를 이어갔다.[46][47][48] 이 사건으로 규마는 매년 참석하던 나가사키 평화기념식전에도 불참하게 되었다.
규마는 사임 기자회견에서 "원폭이 일본을 완전 항복으로 이끈 것은 사실"이라는 기존 주장을 반복하며, "어쩔 수 없다"는 표현이 규슈 지방의 사투리에서 비롯된 말버릇이라고 해명했다. 그러나 규슈 지역 대학 교수나 시마네 대학의 타고 히로시 교수, 나가사키시 평화추진실 등은 이러한 해명에 의문을 제기하며 인정하지 않았다.[42] 이 사건은 규마 개인의 문제를 넘어 일본 정부와 자민당의 원폭 및 역사 인식에 대한 근본적인 비판으로 이어졌다.[43][44][13]
이 논란은 같은 해 7월 치러진 제21회 참의원 통상선거에도 영향을 미쳐, 규마가 속한 자민당은 나가사키현 선거구에서 민주당 후보에게 패배했다.
한편, 보수 성향의 산케이신문이나 호토리마 히토시 전 나가사키 시장 등은 쇼와 천황의 과거 발언 등을 근거로 들며 규마의 발언이 원폭을 긍정하거나 용인하는 것이 아니라고 옹호하기도 했다.[40]
규마의 원폭 투하 관련 발언은 역사 전문가들로부터도 비판을 받았다. 현대사가인 하타 이쿠히코 일본대학 강사는 미국의 원폭 투하가 소련의 참전을 막기 위한 것이었다는 규마의 주장은 역사적 사실과 다르다고 지적했다. 소련은 나가사키 원폭 투하와 같은 날 참전했으며, 종전 후 홋카이도 점령 시도 역시 미국의 반대로 무산되었다는 것이다.[50]
쓰치야마 히데오 전 나가사키 대학 총장은 규마의 발언을 "극히 무지하고 논외"라고 강하게 비판하며, 과거 규마가 이라크 전쟁을 비판했던 점을 들어 이번 발언이 미국에 대한 정치적 고려가 아니냐는 취지의 비판적인 논평을 했다.[50]
현대사가 호사카 마사야스는 원폭 투하와 종전 사이에는 직접적인 관련성이 없으며, 규마의 발언은 미국의 원폭 투하 정당화 논리에 동조하면서 역사적 사실까지 무시한 것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일본 국민이 원폭 투하를 당한 입장에서 당시 일본 군부 지도층의 항전론을 비판하는 동시에, 투하한 측의 일방적인 해석을 철저히 배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51]
2006년 12월 7일, 규마는 참의원 외교방위위원회에서 오키나와의 미군 기지 문제와 관련하여 "내가 (미국의 입장이라도) 역시 저곳(오키나와)은 거점으로 먼저 점령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발언했다. 이는 오키나와의 지정학적 중요성을 강조하려는 의도였으나, 오키나와 전투의 참상을 겪은 오키나와 주민들로부터 "남의 일처럼 말한다", "오키나와가 또다시 버려지는 것 같다"는 강한 반발을 샀다.[21]
2007년 4월 17일 나가사키 시장 피살 사건으로 이토 이치나가 당시 시장이 심정지 상태에 빠지자, 규마는 "만약의 사태도 생각해야 한다"며 선거를 언급했다. 그는 "투표일 3일 전을 넘기면 보궐 입후보가 불가능해 공산당 후보와 일기토가 되면 공산당 후보가 당선될 수 있다. 법은 그런 상황을 상정하지 않았다"며 공직선거법의 미비점을 지적했다.[22][23] 위급한 상황에서 정치적 유불리를 따지는 듯한 이 발언은 부적절하다는 비판을 받았다. 당시 시오자키 야스히사 관방장관은 물론, 시이 가즈오 공산당 위원장, 오자와 이치로 민주당 대표 등 야당 지도자들도 비판에 가세했다.[13][24]
4. 2. 기타 논란
2007년 3월 7일, 참의원 예산위원회에서 일본 공산당 소속 참의원 이노우에 테츠지의 질문을 통해, 규마가 의료법인으로부터 불법 정치자금을 받았다는 의혹이 제기되었다.[52][53][54]일본 공산당, 후생노동성, 정치자금 수지 보고서 등에 따르면, 규마가 대표로 있는 자유민주당 나가사키현 제2선거구 지부는 2004년 11월 8500만엔이 넘는 보조금 지급 결정을 받은 의료법인으로부터 2004년 11월부터 2005년 10월까지 정치헌금을 받았다. 이는 국가로부터 보조금을 받은 법인은 해당 보조금 지급 결정 통지를 받은 날부터 1년 동안 정치 활동에 관한 기부를 할 수 없도록 규정한 정치자금규제법 제22조의 3을 위반한 것이라는 지적이 나왔다.
이에 대해 규마는 2007년 3월 7일 참의원 예산위원회에서 해당 의료법인이 보조금을 받고 있다는 사실을 몰랐다고 해명하며, "(정치자금규제법의) 제도에 대해서는 알고 있다", "(정치헌금을 받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만약 (해당 의료법인이 국가로부터) 보조금을 받고 있다면 (내가 받은 정치헌금은) 반환해야 한다"고 답변하고 환불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1997년 10월 당시 방위청 장관이었던 규마는 방위청 장관 집무실에서 폭력단 두목 등과 함께 기념사진을 찍은 사실이 2001년 관계자들의 증언 등을 통해 드러났다. 이 사진은 사진 주간지 「프라이데이」 2001년 6월 22일호에 게재되었으며, "국무대신 방위청 장관 구마 쇼세이(久間章生)"라고 적힌 명패가 놓인 책상 앞에 앉은 규마와 그를 둘러싸고 서 있는 남성 4명이 찍혀 있었다. 해당 잡지는 "폭력단 두목과 기념사진"이라는 제목으로, 사진 속 인물들이 광역 폭력단 관계자와 우익 단체 간부들이라고 보도했다.[55]
2007년 11월 15일, 방위 관료의 뇌물수수 의혹과 관련된 참의원 증인신문에서 전 방위심의관 스가야 타케마사는 자위대 차세대 수송기 엔진 납품을 둘러싸고 야마다 요코 전무로부터 고급 요정 접대를 받는 자리에 규마 후미오와 전 방위청 장관 아카가 후쿠시로가 함께 있었다는 증언을 했다(야마다 요코 사건).
2014년 1월 29일, 도쿄지방재판소는 “규마 후미오가 지인 여성으로부터 맡아 보관하던 다이아몬드를 아직 반환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여성에게 구입 가격과 거의 같은 3700만엔을 지불하라고 명령했다. 판결에 따르면, 이 여성은 2006년 9월 말경 도쿄 나가타초의 규마 후미오 사무소에서 3800만엔에 구입한 약 20캐럿의 다이아몬드 1개를 규마에게 맡겼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규마는 “다이아몬드를 맡았다는 증서 등도 없으며, 다이아몬드를 맡은 사람은 자신이 아니라 여성으로부터 중개를 의뢰받아 매수자로 소개한 남성이다”라고 반박했다.[56]
2014년 8월 2일, 규마 후미오가 대표를 맡고 있는 비영리법인(NPO) “동일본대지진 원자력재해 등 피해자 지원협회”의 전 간부들이 도쿄전력 후쿠시마 제1원전 사고의 배상금 지급 제도를 이용하여 풍평피해를 입었다는 허위 증언을 하고 배상금을 사취한 혐의로 체포되었다(도쿄전력 배상금 사취 사건). 경시청 조직범죄대책부 제3과에 따르면, 해당 NPO 법인의 전 간부 4명은 2012년 4~5월에 걸쳐, 용의자 중 한 명이 임원으로 있는 고리야마시 소재 회사가 원전 사고로 인해 인재파견업의 매출이 감소했다는 허위 신청을 하여 도쿄전력에 손해배상을 청구하고 약 1200만엔을 가로챈 혐의를 받는다.[57]
2019년 2월, 규마 후미오의 전 비서인 남성이 대만 기업으로부터 횡령한 돈을 부정하게 인출한 혐의로 경시청에 체포되었다.[58]
5. 평가
나가사키현 출신으로 도쿄대학교 법학부를 졸업하고 농림성 관료를 거쳐 정계에 입문했다. 나가사키현 의원을 지낸 후 1980년 중의원 의원에 처음 당선되었다.
자유민주당 내 헤이세이 연구회(하시모토파) 소속으로 활동했으며, 하시모토 류타로 내각과 아베 신조 내각에서 두 차례 방위청 장관을 역임하며 미일방위협력지침 재검토 등 안보 분야에서 경력을 쌓았다.[14] 특히 2007년 방위청이 방위성으로 승격될 때 초대 방위대신을 맡아 일본 방위 정책의 중요한 전환기에 중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고이즈미 정권 시기에는 당내 주류와 다른 입장을 보이던 같은 파벌의 중진들과 달리, 친고이즈미 노선을 걸으며 자민당 총무회장 등 요직을 거쳤다. 총무회장 시절에는 우정민영화 법안 처리 과정에서 당내 만장일치 관례를 깨고 다수결 표결을 강행하여 법안 통과에 기여했으나, 이는 당내 논란을 일으키기도 했다. 한편, 2002년 스즈키 무네오 의원의 퇴직 권고 결의안 표결에서는 유일하게 반대 의사를 표시하는 등 독자적인 행보를 보이기도 했다.
그러나 2007년 방위대신 재임 중 원자폭탄 투하에 대해 "어쩔 수 없었다"고 발언한 것이 큰 사회적 파장을 일으켰다. 이 발언은 피폭자 단체와 여론의 거센 비판에 직면했고, 결국 그는 책임을 지고 방위대신 직에서 사임했다. 이 사건은 그의 정치 경력에 결정적인 타격을 주었다. (자세한 내용은 #부정적 평가 참조)
이후 2009년 총선거에서 낙선한 뒤 2012년 정계 은퇴를 선언했다. 아소 다로의 후견인 역할을 하는 등 정계 은퇴 후에도 일정 부분 영향력을 유지하려 했으나, '원폭 발언' 논란으로 인해 그의 정치적 평가는 크게 엇갈리게 되었다.
5. 1. 긍정적 평가

검도 6단, 장기 6단, 바둑 5단의 단을 보유하는 등 다방면에 재능을 보였다. 그가 직접 쓴 휘호(揮毫)는 방위성의 명판 제작에 사용되기도 했다.
5. 2. 부정적 평가
2007년 6월 30일, 지바현 가시와시에서 열린 강연회에서 제2차 세계 대전 말 미국의 원자폭탄 투하에 대해 "소련의 대일 참전을 막기 위해 어쩔 수 없었다"는 취지로 발언하여 큰 파문을 일으켰다.[50] 이는 미국의 원폭 투하를 사실상 정당화하는 발언으로 해석될 수 있어, 피폭지인 나가사키현 출신이자 당시 현직 방위대신이었던 그의 발언은 매우 부적절하다는 비판에 직면했다.이 발언은 피폭자 단체와 유족들의 거센 반발을 샀으며, 일본 내 여론 또한 급격히 악화되었다. 결국 규마는 발언의 책임을 지고 같은 해 7월 3일 방위대신 직에서 사임하였다. 이후에도 언론의 비판과 반핵 평화 단체, 피폭자 단체 등의 항의가 지속되었고, 그해 8월 9일 나가사키시에서 열린 평화 기념식전에도 불참해야 했다.
규마의 역사 인식에 대한 전문가들의 비판도 이어졌다. 역사학자 하타 이쿠히코는 미국의 원폭 투하가 소련의 참전을 막기 위한 것이었다는 규마의 주장이 소련의 실제 참전 시점 등 역사적 사실과 다르다고 지적했다.[50] 전 나가사키 대학 총장 쓰치야마 히데오는 규마의 발언을 '극히 무지하고 논외'라고 일축하며, 그의 이라크 전쟁 비판 전력을 들어 '미국에 대한 어필'이라고 비꼬았다.[50] 현대사학자 호사카 마사야스는 원폭 투하와 종전 간의 직접적인 관련성이 부족하며, 규마의 발언은 미국의 원폭 투하 정당화 논리에 동조하면서 역사적 사실마저 무시한 것이라고 강하게 비판했다.[51]
같은 해 2007년 3월 7일에는 참의원 예산위원회에서 일본 공산당 소속 이노우에 데쓰지 의원에 의해 불법 정치자금 수수 의혹이 제기되기도 했다.[52][53][54] 규마가 대표로 있는 자유민주당 나가사키현 제2선거구 지부가 2004년 11월 정부로부터 8500만엔가 넘는 보조금 지급이 결정된 의료법인으로부터 2004년 11월부터 2005년 10월까지 정치헌금을 받았다는 것이다. 이는 국가 보조금을 받은 법인이 지급 결정 통지를 받은 날로부터 1년간 정치 활동 관련 기부를 할 수 없도록 규정한 정치자금규제법 제22조의 3을 위반했을 가능성이 제기된 사건이다.
이에 대해 규마는 참의원 예산위원회 답변에서 해당 의료법인이 보조금을 받고 있다는 사실을 몰랐다고 해명하면서도, 정치헌금을 받은 사실 자체는 인정했다. 또한 만약 보조금을 받은 것이 사실로 확인될 경우, 받은 헌금을 반환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6. 가족 및 친족
아내와 아들 둘, 딸 둘을 두었다. 구마 카즈오 농림수산업식품기술종합연구기구 이사장은 사촌이다.[59]
7. 관계 단체
- 한일의원연맹(부회장)
- 한일터널연구회(고문)
- 파친코체인스토어협회(정치분야 어드바이저)[60]
- 사단법인 한미평화·문화교류협회(후술) 이사
- 신일본전지개발(고문)
- 기술연구조합농축산공업고용추진기구(고문)[61]
- 예외적으로 부부의 별성을 실현시키는 모임
- 일본회의 국회의원 간담회
- 신도정치연맹 국회의원 간담회
8. 관련 인물
- 코미네 타다토시 (小嶺忠敏|고미네 다다토시일본어): 축구 지도자. 같은 고향 출신으로, 규마의 추천을 받아 2007년 제21회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에 출마했으나 낙선했다.
- 쇼와 천황 (昭和天皇|쇼와 덴노일본어):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일본의 천황이자 일본군 대원수. 1975년 10월 31일 "원폭은 어쩔 수 없었다"고 발언한 바 있다. 이는 규마 후미오의 발언과 유사하여 함께 언급되기도 한다.
- 사다노후지 테츠히로 (佐田の富士哲博|사다노후지 데쓰히로일본어): 스모 선수. 규마는 사다노후지의 현역 시절 후원자를 맡았으며, 결혼식의 주례도 섰다.
참조
[1]
웹사이트
Fumio Kyuma
http://www.kantei.go[...]
[2]
웹사이트
The Japan Times "Cabinet Profile"
https://web.archive.[...]
2007-07-03
[3]
웹사이트
Japan Times "Cabinet Profile"
https://web.archive.[...]
2007-07-03
[4]
웹사이트
Fumio Kyumi
http://www.kantei.go[...]
[5]
뉴스
Japan defence chief: China not threat
http://www.chinadail[...]
[6]
뉴스
Kyuma admits Tokyo backed Iraq attack
http://search.japant[...]
[7]
뉴스
Kyuma: U.S. invasion of Iraq a mistake
http://search.japant[...]
2015-06-18
[8]
뉴스
Japan moves to defuse diplomatic spat with US
https://www.theguard[...]
2015-06-18
[9]
웹사이트
Kyūma steps down over A-bomb gaffe
https://web.archive.[...]
2007-07-03
[10]
웹사이트
Kyuma's excuse: 'It can't be helped' is often said in Kyushu dialect
http://www.japannews[...]
2007-07-03
[11]
웹사이트
Yuriko Koike appointed new Defence Minister
http://www.japannews[...]
2015-06-18
[12]
웹사이트
役員略歴 社外取締役 監査等委員 久間章生
http://www.showa-hol[...]
昭和ホールディングス
2023-10-07
[13]
웹사이트
防衛庁長官
https://www.kantei.g[...]
内閣官房内閣広報室
[14]
뉴스
防衛相、日米同盟強化で重み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19-08-06
[15]
웹사이트
羽田元首相、倍賞千恵子さんら4099人受章
https://www.sankei.c[...]
産経新聞
2013-04-29
[16]
웹사이트
J-rcom 日本軍事情報センター:「読売記者に機密漏洩」の節
http://www.kamiura.c[...]
2007-07-23
[17]
뉴스
沖縄タイムス社説
沖縄タイムス
2007-01-29
[18]
뉴스
久間防衛相:普天間巡る「反米的発言」が波紋広げる
毎日新聞
2007-02-01
[19]
웹사이트
第166回国会 衆議院 安全保障委員会 2号(平成19年(2007年)2月22日)
https://www.shugiin.[...]
2007-02-22
[20]
웹사이트
チェイニー副大統領の訪日報道から目を話してはならない
http://www.amakiblog[...]
天木直人のブログ
2007-02-18
[21]
뉴스
沖縄タイムス
2006-12-08
[22]
뉴스
「不謹慎だが感じた」防衛相、重ねて選挙制度の問題言及
http://www.asahi.com[...]
2007-04-18
[23]
뉴스
期限付き補充立候補、選挙直前できず…公選法の不備が浮上
https://web.archive.[...]
2007-04-18
[24]
뉴스
久間防衛相、長崎市長銃撃事件で失言
https://www.afpbb.co[...]
2007-04-18
[25]
웹사이트
https://web.archive.[...]
[26]
웹사이트
原爆投下「しょうがない」発言 久間氏が陳謝、撤回
http://www.nagasaki-[...]
2007-07-02
[27]
웹사이트
「発言撤回」で着地 長崎市議会が意見書可決
http://www.nagasaki-[...]
2007-07-03
[28]
웹사이트
「田上市長ら直接抗議 久間氏「迷惑掛けた」
http://www.nagasaki-[...]
2007-07-03
[29]
웹사이트
県議会も抗議決議
http://www.nagasaki-[...]
2007-07-04
[30]
웹사이트
無念のぞかせ釈明 久間防衛相辞任
http://www.nagasaki-[...]
2007-07-04
[31]
웹사이트
久間防衛相が辞任 原爆「しょうがない」発言で引責
http://www.nagasaki-[...]
2007-07-04
[32]
웹사이트
広島市/久間防衛大臣の発言に対するコメント(2007.6.30)
http://www.city.hiro[...]
2007-06-30
[33]
웹사이트
「あまりに非常識」原水協被団協 久間氏原爆容認発言
http://www.nagasaki-[...]
2007-07-01
[34]
웹사이트
連合長崎なども抗議
http://www.nagasaki-[...]
2007-07-01
[35]
웹사이트
「被爆者ないがしろに」原水禁
http://www.nagasaki-[...]
2007-07-02
[36]
웹사이트
「無意味で犯罪的」と大江氏 久間氏原爆容認発言
http://www.nagasaki-[...]
2007-07-01
[37]
웹사이트
被爆者ら抗議の座り込み 久間氏発言、批判さらに広がる
http://www.nagasaki-[...]
2007-07-03
[38]
웹사이트
共産党県委など辞任求める声明
http://www.nagasaki-[...]
2007-07-03
[39]
웹사이트
県内被爆者5団体が抗議文 8月9日の平和祈念式典「出席許さぬ」
http://www.nagasaki-[...]
2007-07-02
[40]
뉴스
2007년 7월 2일자 산케이 초(산케이 신문)
산케이 신문
2007-07-02
[41]
웹사이트
久間氏「原爆投下しょうがない」 ソ連参戦阻止と見解
http://www.nagasaki-[...]
장가키 신문
2007-07-01
[42]
웹사이트
「しょうがない」は「九州弁」 久間氏のトンデモ弁明(J-CASTニュース)
https://www.j-cast.c[...]
2007-07-04
[43]
웹사이트
2007年7月3日記者会見「久間防衛大臣の発言に関して」
http://www.city.hiro[...]
2007-07-03
[44]
웹사이트
「当然」「選挙対策だ」 被爆地の怒り収まらず
http://www.nagasaki-[...]
2007-07-04
[45]
웹사이트
無念のぞかせ釈明 久間防衛相辞任
http://www.nagasaki-[...]
2007-07-04
[46]
웹사이트
久間氏は議員辞職を 長崎県原水協が抗議デモ
http://www.nagasaki-[...]
2007-07-06
[47]
웹사이트
久間氏に公開質問状 原爆発言で被爆者5団体
http://www.nagasaki-[...]
2007-07-11
[48]
웹사이트
久間氏が「しょうがない」発言質問に回答 被爆者団体「憤り」
http://www.nagasaki-[...]
2007-08-03
[49]
웹사이트
久間元防衛相義母は原爆記念日に死を選んだ
http://www.bunshun.c[...]
2009-06-18
[50]
웹사이트
「論外」「許されない」 久間氏原爆容認発言で被爆地に怒りと失望
http://www.nagasaki-[...]
2007-07-01
[51]
웹사이트
長崎新聞 寄稿 原爆は戦争を終わらせたか <上>
http://www.nagasaki-[...]
2007-08-03
[52]
비디오
「参議院インターネット審議中継」参議院、2007年。
http://www.webtv.san[...]
[53]
신문
보조금을 받은 법인 총리 등 4명에게 헌금
일본경제신문
2007-03-08
[54]
신문
자민당 지부에 불법 헌금 의혹 공산당 지적 아베·구마씨 등 대표
아사히 신문
2007-03-08
[55]
뉴스
2001년 6월 7일자 마이니치 신문
마이니치 신문
2001-06-07
[56]
뉴스
구마 전 방위상에 3700만엔 배상 명령 다이아몬드 반환 소송
https://web.archive.[...]
산케이 뉴스
2014-01-29
[57]
뉴스
구마씨 대표 단체 동전 배상 순회 사취 용의 전 간부 등 체포
https://web.archive.[...]
아사히 디지털
2014-08-02
[58]
뉴스
전 공설 비서의 남자 체포 사취금 부정 인출 용의
https://www.sankei.c[...]
산케이 신문
2019-02-14
[59]
뉴스
구마 카즈오씨(2) 산수가 특기 이과를 의식 농업·식품산업기술종합연구기구(농연기구) 이사장 혁신을 낳는 나라로
https://www.nikkei.c[...]
일본경제신문
2021-06-25
[60]
웹사이트
「パチンコ・チェーンストア協会」(PCSA) 理事・会員リスト
http://www.pcsa.jp/m[...]
[61]
웹사이트
농축산공업고용추진기구·임원구성
http://www.asieep.o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